EPS(주당순이익, Earnings Per Share)는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
수로 나눈 값으로, 각 주당 얼마의 이익이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
지표입니다.
※ 순이익: 매출액 - 비용(원가, 판관비, 세금 등)
기업이 실제로 남긴 이익으로, 주주들에게 배당되거나 재투자되는 등의
용도로 사용됩니다.
※ 유통주식수: 특정 기간 동안 회사가 발행한 주식의 평균 수량
EPS가 높을수록 기업이 주당 이익을 많이 창출하고 있다는 것을
의미하며, 투자자들은 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을 평가할 때 EPS를 주요한
지표로 활용합니다.
PER(주가수익비율, Price-to-Earnings Ratio)은 주식 시장에서 사용되는
중요한 지표 중 하나로, 주가수익비율을 의미합니다. 이를 계산하기
위해서는 기업의 현재 주가와 주당순이익(EPS)를 사용합니다.
※ EPS (주당순이익): 기업의 순이익을 발행된 주식 수로 나눈
값으로, 주당 이익을 의미합니다.
기업이 얼마나 저평가되었는지 또는 고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데
사용됩니다. 일반적으로 낮은 PER은 주식이 저평가되어 있다고 간주되며,
높은 PER은 주식이 고평가되어 있다고 간주됩니다.
ROE(자기자본이익률, Return on Equity)는 기업이 자기자본을 이용해
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.
- EPS: 주당순이익
- BPS: 주당순자산
ROE가 높을수록 기업이 자기자본을 잘 활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PBR(주가순자산비율, Price-to-Book Ratio)은 기업의 주가가 자산 대비
어느 정도 가치를 평가받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.
- 현재 주가 ÷ BPS
PBR이 1보다 낮으면 저평가, 1보다 높으면 고평가 가능성이 있다고 볼 수
있습니다.